가라바흐 FK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라바흐 FK는 아제르바이잔의 축구 클럽으로, 1951년 창단되었다. 구단은 11번의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 우승, 8번의 아제르바이잔 컵 우승, 1번의 아제르바이잔 슈퍼컵 우승을 기록했다. 2017-18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했으며, 2023-24 시즌에는 UEFA 유로파 리그 16강에 진출하며 아제르바이잔 클럽 역사상 최초로 유럽 대항전 16강 진출을 달성했다. 구르반 구르바노프 감독 체제 하에 유럽 대항전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며, 막심 메드베데프가 구단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20년에는 구단 관계자의 혐오 발언으로 인해 UEFA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라바흐 FK - 토피크 바흐라모프 경기장
토피크 바흐라모프 경기장은 아제르바이잔 바쿠에 위치한 경기장으로, 1951년에 완공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스포츠 행사와 콘서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가라바흐 FK - 바쿠 올림픽 경기장
바쿠 올림픽 경기장은 아제르바이잔 바쿠에 위치한 68,700명 수용 규모의 다목적 경기장으로, 2015년 유럽 경기 대회, 2019년 UEFA 유로파 리그 결승전, UEFA 유로 2020 경기 등을 개최했으며 FK 카라바흐의 홈 경기장으로도 사용된다. -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 구단 - 네프치 PFK
네프치 PFK는 1937년 바쿠에서 창단된 아제르바이잔의 축구 클럽으로,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에서 9회 우승을 차지하고 2012-13 UEFA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 구단 - 투란 토부스 IK
투란 토부스 IK는 1992년에 창단되어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 우승, 하위 리그 강등, 재승격을 거쳐 토부즈 시립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유소년 아카데미를 운영하는 축구 클럽이다. - 아제르바이잔 축구에 관한 - 네프치 PFK
네프치 PFK는 1937년 바쿠에서 창단된 아제르바이잔의 축구 클럽으로,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에서 9회 우승을 차지하고 2012-13 UEFA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아제르바이잔 축구에 관한 - 투란 토부스 IK
투란 토부스 IK는 1992년에 창단되어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 우승, 하위 리그 강등, 재승격을 거쳐 토부즈 시립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유소년 아카데미를 운영하는 축구 클럽이다.
가라바흐 FK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카라바흐 푸트볼 클루부 |
별칭 | "아틀르라르" (기수들) "괴이-아을라르" (파란색과 흰색) |
창단 | 1951년 (마흐술로 창단) 1987년 (카라바흐로 창단) |
구장 | 아제르순 아레나 |
수용 인원 | 5,800명 |
구단주 | 아제르선 홀딩 |
회장 | 타히르 괴젤 |
감독 | 구르반 구르바노프 |
리그 |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 |
시즌 | 2023–24 시즌 |
위치 |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리그, 10개 팀 중 1위 (챔피언) |
현재 시즌 | 2023–24 카라바흐 FK 시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 |
홈 | pattern_la1: pattern_b1: _adidasicon23b pattern_ra1: pattern_sh1: _adidastirom23b pattern_so1: _3_stripes_white leftarm1: 000000 body1: 000000 rightarm1: 000000 shorts1: 000000 socks1: 000000 |
원정 | pattern_la2: pattern_b2: _adidasicon23w pattern_ra2: pattern_sh2: _adidastirom23w pattern_so2: _3_stripes_black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서드 | pattern_la3: _adidasstriped24lbw pattern_b3: _adidasstriped24lbw pattern_ra3: _adidasstriped24lbw pattern_sh3: _adidastirom23b pattern_so3: _3_stripes_black leftarm3: FFFFFF body3: FFFFFF rightarm3: FFFFFF shorts3: FFFFFF socks3: FFFFFF |
2. 역사
가라바흐 FK는 1950년에 창설되었다. 1951년 아그담 시티 스타디움이 완공된 후, 아마추어 축구팀이었던 가라바흐는 프로 축구팀으로 전환을 시도했다. 1966년, '메흐술'이라는 이름으로 아제르바이잔 선수권 대회에 처음 참가하여 4위를 기록했고, 1968년에는 2위를 차지했다. 이후 오랜 기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않다가 1977년 '샤파크'라는 이름으로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1982년부터 1987년까지는 '협동조합'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1988년, '가라바흐'로 이름을 바꾼 첫 해에 아제르바이잔 SSR 챔피언이 되었다.
1992년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가 창설되자 가라바흐 FK는 첫 해부터 리그에 참가했다. 1993년 여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인해 홈 타운인 아그담이 아르메니아군에 점령당하면서 팀은 바쿠로 피난을 가야 했다. 이후 아그담은 아르차흐 공화국이 지배하는 유령 도시가 되었고, 가라바흐 FK는 홈 타운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가라바흐 FK는 1993년 리그와 아제르바이잔 쿠보쿠에서 우승하며 2관왕을 달성했다.
2013-14 시즌, 가라바흐 FK는 20시즌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2014-15 시즌에는 리그 2연패와 함께 1993년 이후 다시 한번 2관왕을 달성했다.
2. 1. 창단 초기 (1951–1991)
1951년 아그담 시립 경기장 건설과 함께 '메술'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된 카라바흐 FK는,[10][7][8] 프로 축구팀 창단을 위한 노력으로 1966년 아제르바이잔 SSR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4위를 기록했다.[9]1969년에는 같은 대회에서 2위를 기록했으나,[11] 이후 부주의와 재정 지원 부족으로 প্রায় 10년 동안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다.[10] 1977년 '샤파크'라는 이름으로 다시 활동을 시작했고, 1982년에는 아그담의 유일한 축구 대표팀이었다. 1982년부터 1987년까지는 "협동조합"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1988년 현재의 이름으로 아제르바이잔 SSR 지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0]
2. 2. 전쟁과 재정난 (1991–2008)
1993년 7월 23일,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중 아그담 시가 아르메니아군에 의해 점령당하면서[12], 팀은 이마라트 스타디움에서 바쿠로 이전을 강요받았으며, 팀의 전 감독이자 선수였던 알라베르디 바기르호프는 전쟁에서 사망했다.[13][14][15]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카라바흐는 1993년 리그와 아제르바이잔 컵에서 우승했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클럽은 재정적인 문제에 시달렸지만, 1999년 UEFA 인터토토컵에서 클럽의 전설적인 선수[16] 무쉬피그 후세이노프의 멀티골에 힘입어 이스라엘의 마카비 하이파를 꺾고 유럽 대회 원정 경기에서 승리한 최초의 아제르바이잔 팀이 되었다.[17] 카라바흐는 UEFA 컵 위너스 컵과 UEFA 컵에 여러 차례 아제르바이잔을 대표하여 참가하기도 했다.2001년, 아제르바이잔의 대형 지주 회사 중 하나인 아제르순 홀딩이 팀을 후원하면서 재정 문제가 완화되었다. 팀은 두 시즌 동안 '카라바흐-아제르순'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2004년에 원래 이름으로 돌아갔다.[18]
2. 3. 구르반 구르바노프 시대 (2008–현재)
2008년, 구르반 구르바노프가 가라바흐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외국인 선수 영입 대신 지역 인재 육성을 택하고, ''티키타카'' 스타일을 도입하여 팀을 변화시켰다.[19][20]구르바노프 감독의 지도 아래 가라바흐는 유로파 리그 예선에서 로젠보르그와 헝카를 꺾는 등 유럽 무대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아제르바이잔 축구 클럽 중 유럽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 중 하나로 성장했다.[21][22] 2010년과 2011년에도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24][25][26][27]
2014년 5월, 가라바흐는 21년 만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31] 같은 해 챔피언스 리그 3차 예선에서 레드불 잘츠부르크를 꺾었고, 유로파 리그에서는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드니프로를 꺾고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 경기에서 승리한 최초의 아제르바이잔 클럽이라는 기록을 세웠다.[32][33][35][37][38]
이후에도 가라바흐는 꾸준히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아제르바이잔 리그를 대표하는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시즌 | 디비전 | 아제르바이잔 컵 | ||||||||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2008-09 | 프리미어리그 | 5위 | 26 | 14 | 7 | 5 | 35 | 22 | 49 | 우승 |
2009-10 | 프리미어리그 | 3위 | 42 | 17 | 18 | 7 | 37 | 30 | 69 | 8강 탈락 |
2010-11 | 프리미어리그 | 3위 | 32 | 17 | 7 | 8 | 41 | 22 | 58 | 1회전 탈락 |
2011-12 | 프리미어리그 | 4위 | 32 | 15 | 8 | 9 | 37 | 28 | 53 | 준결승 탈락 |
2012-13 | 프리미어리그 | 2위 | 32 | 16 | 11 | 5 | 43 | 26 | 59 | 준결승 탈락 |
2013-14 | 프리미어리그 | 1위 | 36 | 21 | 9 | 6 | 65 | 21 | 72 | 8강 탈락 |
2014-15 | 프리미어리그 | 1위 | 32 | 20 | 8 | 4 | 51 | 28 | 68 | 우승 |
2015-16 | 프리미어리그 | 1위 | 36 | 26 | 6 | 4 | 66 | 21 | 84 | 우승 |
2016-17 | 프리미어리그 | 1위 | 28 | 19 | 5 | 4 | 46 | 14 | 62 | 우승 |
2017-18 | 프리미어리그 | 1위 | 28 | 20 | 5 | 3 | 37 | 13 | 65 | 8강 탈락 |
2018-19 | 프리미어리그 | 1위 | 27 | 19 | 6 | 2 | 62 | 19 | 63 | 준결승 탈락 |
2019-20 | 프리미어리그 | 1위 | 20 | 13 | 6 | 1 | 34 | 7 | 45 | 준결승 탈락 |
2020-21 | 프리미어리그 | 2위 | 28 | 16 | 9 | 3 | 64 | 18 | 57 | 준결승 탈락 |
2021-22 | 프리미어리그 | 1위 | 28 | 21 | 6 | 1 | 72 | 13 | 69 | 우승 |
2022-23 | 프리미어리그 | 위 |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에서는 조별 리그 2위를 기록하며 녹아웃 플레이오프 라운드에 진출했다.[46]
2. 3. 1. 2017-18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본선 진출
셰리프 티라스폴을 꺾고 가라바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1차전에서 덴마크의 FC 코펜하겐을 바쿠에서 1-0으로 꺾었지만,[39] 2차전에서 1-2로 패배했다.[40] 그러나 가라바흐는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한 최초의 아제르바이잔 팀이 되었다.[40]가라바흐는 C조에서 첼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마와 같은 강팀들과 한 조에 속하게 되었다.[41] 6경기에서 2무 4패, 승점 2점에 그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아제르바이잔 축구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41]
2. 3. 2. 2023-24 시즌 UEFA 유로파리그 16강 진출
2023-24 시즌 가라바흐는 유로파 리그 조별 리그에서 바이어 레버쿠젠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가라바흐는 녹아웃 라운드 플레이오프에서 브라가와 맞붙어 1차전에서 4-2로 승리했다. 2차전에서는 정규 시간 내에 브라가가 2-0으로 승리했지만, 연장전에서 결국 포르투갈 팀이 3-2로 승리하며 합계 6-5로 가라바흐가 승리했다. 이로써 가라바흐는 UEFA 클럽 대항전에서 16강에 진출한 최초의 아제르바이잔 팀이 되었다.[47] 16강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이미 만났던 바이어 레버쿠젠과 다시 맞붙었다. 홈에서 2-2로 비겼지만, 후반 추가 시간에 파트리크 쉬크에게 두 골을 허용하며 2차전에서 3-2로 패해 탈락했다.[47] 비록 16강에서 탈락했지만, 아제르바이잔 클럽 최초로 유럽 대항전 16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3. 경기장
가라바흐 FK는 원래 아제르바이잔 나고르노카라바흐 아그담 구의 구잔르에 위치한 구잔르 올림픽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중 아르메니아 군대의 포격으로 클럽의 원래 홈 경기장이었던 이마라트 스타디움이 파괴되었다.[48][49][50]
2012년, 새로운 축구 경기장 아제르순 아레나의 건설이 발표되었고, 2015년 6월에 개장했다. 아제르순 아레나는 아제르바이잔 바쿠 수라하니 구에 있는 다목적 축구 경기장으로, 현재 클럽의 아제르바이잔 프리미어 리그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며 5,800명을 수용할 수 있다.[51]
바쿠 올림픽 스타디움과 토피크 바흐라모프 공화국 경기장은 UEFA 챔피언스 리그와 UEFA 유로파 리그 경기에 사용된다.[52] 가라바흐의 최고 관중 기록은 2017년 9월 27일 2017–18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서 로마를 상대로 67,200명의 팬이 참석한 경기였다.[53]
2023년 12월 21일, 카라바흐는 제2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종전 후 카라바흐 경제 지역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로, 2023–24 아제르바이잔 컵 경기를 MOIK 바쿠를 상대로 한켄디의 한켄디 스타디움에서 치렀다.[54]
3. 1. 이전 홈 구장: 이마라트 스타디움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중 아르메니아 군대의 포격으로 이마라트 스타디움이 파괴되면서, 가라바흐 FK는 아제르바이잔 나고르노카라바흐 아그담 구의 구잔르에 위치한 구잔르 올림픽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48][49][50]3. 2. 현재 홈 구장: 아제르순 아레나
가라바흐 FK는 아제르바이잔 바쿠의 수라하니 구에 위치한 아제르순 아레나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5년 6월에 개장한 아제르순 아레나는 5,8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 축구 경기장이다.[51]
이전에는 아제르바이잔 나고르노카라바흐 아그담 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구인 구잔르에 위치한 구잔르 올림픽 스타디움을 사용했었다. 그러나 가라바흐 FK의 원래 홈 경기장이었던 이마라트 스타디움은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중 아르메니아 군대의 포격으로 파괴되었다.[48][49][50]
3. 3.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경기
바쿠 올림픽 스타디움과 토피크 바흐라모프 공화국 경기장은 UEFA 챔피언스 리그와 UEFA 유로파 리그 경기에 사용된다.[52] 가라바흐의 최고 관중 기록은 2017년 9월 27일 2017–18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서 로마를 상대로 67,200명의 팬이 참석한 경기였다.[53]4. 서포터즈
카라바흐 FK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인해 고향을 잃은 아제르바이잔 난민들에게 희망과 자부심을 상징하는 존재이다. 주요 서포터 그룹으로는 İmarətaz, Qarabağ Ordusuaz, Boys Qarabağ영어, Ladies of Qarabağ영어 등이 있다.
4. 1. 전쟁 난민들의 희망
카라바흐 FK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인해 고향을 잃은 아제르바이잔 난민들에게 희망과 자부심을 상징하는 존재이다. 1993년 여름,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인해 홈 타운인 아그담이 아르메니아군에 의해 함락되면서 팀은 바쿠로 피난을 가야 했다.[48][49][50] 그 이후로 아그담은 아르차흐 공화국에 지배된 유령 도시가 되었고, 팀은 한 번도 홈 타운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원래 홈 경기장이었던 이마라트 스타디움은 전쟁 중 포격으로 파괴되었다.[48][49][50]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카라바흐 FK는 1993년 리그전과 아제르바이잔 쿠보쿠에서 2관왕을 달성하며 난민들에게 큰 희망을 주었다.4. 2. 주요 서포터 그룹
İmarətaz, Qarabağ Ordusuaz, Boys Qarabağ영어, Ladies of Qarabağ영어 등 다양한 가라바흐 FK의 서포터 그룹이 활동하고 있다.5. 엠블럼과 유니폼
가라바흐 FK의 엠블럼은 카라바흐의 상징인 카라바흐 말을 바탕으로 영국 디자이너들이 제작했다.[60] 이 말은 클럽의 별명인 "기마병"의 유래가 되었으며, 2004년부터 유니폼에 엠블럼이 표시되기 시작했다.[61] 구르반 구르바노프 감독 부임 후, 가라바흐의 플레이 스타일은 팬들 사이에서 "''Qafqazın Barselonası''" ("코카서스의 바르셀로나")라는 별명을 얻게 했으며, 이는 바르셀로나의 유럽에서의 성공을 빗댄 것이다.[20][62] 한편, 클럽은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아제르바이잔의 난민 문제에 대한 보수적인 입장 때문에 "''Qaçqın Klub''" ("난민 클럽")이라고 불리기도 한다.[20][63][64]
5. 1. 엠블럼: 카라바흐 말
클럽 엠블럼에는 카라바흐의 상징인 카라바흐 말이 새겨져 있다.[60] 이 말은 클럽의 별명인 "기마병"의 유래가 되었으며, 2004년부터 유니폼에 엠블럼이 표시되기 시작했다.[61]5. 2. 유니폼: 흑백 색상
가라바흐 FK의 전통적인 유니폼 색상은 흑백이며, 이는 빛과 어둠을 상징한다.5. 3. 유니폼 스폰서 및 제조사
가라바흐 FK의 전통적인 유니폼은 빛과 어둠을 각각 나타내는 흑백 색상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의 클럽 위치를 암시한다. 이 클럽의 유니폼은 아디다스에서 제작하며, 바쿠에 본사를 둔 식품 생산 회사인 아제르선이 후원한다.기간 | 유니폼 제작사 | 셔츠 스폰서 |
---|---|---|
2003–2004 | 휠라 | FINAL |
2004–2007 | 아디다스 | 아제르선 |
2007–2008 | 푸마 | 아제르선 |
2008–2010 | 아디다스 | 아제르선 |
2010–2011 | 아디다스 | 아제르바이잔 산나예 뱅키 |
2011–2012 | 카파 | 아제르선 |
2012–2022 | 아디다스 | 아제르선 |
2022–2023 | Il`Azero | 아제르선 |
2023– | 아디다스 | 아제르선 |
6. 선수
이 목록은 위키백과에 문서가 있는 모든 전, 현 가라바흐 FK 선수들을 포함한다. 선수 명단은 각 선수의 주된 국적만을 포함하며, 명단에 있는 여러 비유럽 선수들은 EU 국가와의 이중 국적을 가지고 있다.[67]
2017년 9월 1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
2 | DF | 가라 가라예프 | |
5 | DF | 막심 메드베데프 (주장) | |
7 | MF | 라히드 아미르굴리예프 | |
8 | MF | 미첼 | |
9 | FW | 디노 엔돌로브 | |
10 | MF | 페드로 엔히키 | |
11 | FW | 마히르 마다토프 | |
12 | GK | 샤후르딘 마하마달리예프 | |
13 | GK | 이브라힘 셰히치 | |
14 | DF | 라샤드 사디고프 (주장) | |
20 | MF | 리샤르지 아우메이다 | |
21 | DF | 아리프 다슈데미로프 | |
22 | MF | 아프란 이스마일로프 | |
30 | DF | 아바스 후세이노프 | |
32 | DF | 엘빈 유누스자데 | |
44 | FW | 아가발라 라마자노프 | |
52 | DF | 야쿠프 제지니차크 | |
55 | DF | 바다비 후세이노프 | |
77 | MF | 윌드-도날드 그리예 | |
88 | MF | 엘샨 압둘라예프 | |
90 | FW | 라밀 셰이다예프 | |
91 | MF | 조슈군 지니예프 | |
99 | MF | 다니 킨타나 |
6. 1. 현재 선수 명단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
1 | GK | 샤크루딘 마고메달리예프 | |
2 | DF | 마테우스 실바 | |
6 | MF | 줄리오 로망 | |
7 | MF | 야신 벤지아 | |
8 | MF | 마르코 얀코비치 | |
10 | MF | 압달라 주비르 (부주장) | |
11 | FW | 에마뉘엘 아다이 | |
12 | GK | 사디그 마맘자데 | |
13 | DF | 베흐룰 무스타파자데 (3번째 주장) | |
15 | MF | 레안드로 안드라데 | |
18 | FW | 주니뉴 | |
19 | FW | 레돈 시자 | |
20 | MF | 리차드 알메이다 | |
21 | MF | 올렉시 카슈추크 | |
22 | FW | 무사 쿠르반리 | |
24 | MF | 알렉세이 이사예프 | |
27 | DF | 토랄 바이라모프 | |
29 | DF | 마르코 베쇼비치 | |
30 | DF | 아바스 후세이노프 | |
44 | DF | 엘빈 차파르굴리예프 | |
55 | DF | 바다비 구세이노프 (주장) | |
66 | MF | 파트리크 안드라데 | |
81 | DF | 케빈 메디나 (4번째 주장) | |
89 | GK | 아민 라마자노프 | |
90 | FW | 나리만 아훈드자데 | |
97 | GK | 파비얀 분티치 | |
99 | GK | 마테우시 코할스키 |
2024년 8월 23일 기준 가라바흐 FK의 현재 선수 명단이다.[67] 최근 이적 사항은 2023-24 카라바흐 FK 시즌, 2024년 여름 이적 및 2023-24년 겨울 이적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6. 2. 임대 선수 명단
포지션 | 국가 | 이름 | 기타 |
---|---|---|---|
MF | İsmayıl İbrahimli|이스마일 이브라힘리az | 지라로 임대 | |
FW | Rüstəm Əhmədzadə|루스탐 아흐메드자데az | 지라로 임대 |
6. 3. 역대 주요 선수
- 바기프 자바도프 (2007-2010, 2012-2013)
- 슉비뉴 (2013-2015)
- 안드레이스 루빈스 (2010-2011)
- 안시 아고리 (2012-2019)
- 이노센트 에메가라 (2014-2015)
- 타리크 엘유누시 (2017-2018)
7. 클럽 기록
가라바흐 FK의 역대 리그 및 아제르바이잔 컵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디비전 | 아제르바이잔 컵 | |||||||||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92 | 프리미어리그 | 4위 | 36 | 24 | 7 | 5 | 76 | 26 | 55 | ||
1993 | 프리미어리그 | 1위 | 18 | 9 | 7 | 2 | 23 | 11 | 25 | 우승 | |
1993-94 | 프리미어리그 | 2위 | 30 | 21 | 7 | 2 | 52 | 12 | 49 | 준결승 탈락 | |
1994-95 | 프리미어리그 | 4위 | 24 | 13 | 6 | 5 | 42 | 31 | 32 | ||
1995-96 | 프리미어리그 | 5위 | 20 | 4 | 9 | 7 | 25 | 26 | 21 | 준우승 | |
1996-97 | 프리미어리그 | 2위 | 30 | 23 | 2 | 5 | 61 | 25 | 71 | 준결승 탈락 | |
1997-98 | 프리미어리그 | 4위 | 26 | 14 | 7 | 5 | 43 | 22 | 49 | 준우승 | |
1998-99 | 프리미어리그 | 4위 | 36 | 20 | 6 | 10 | 50 | 29 | 66 | ||
1999-00 | 프리미어리그 | 8위 | 22 | 5 | 10 | 7 | 21 | 25 | 25 | 준우승 | |
2000-01 | 프리미어리그 | 9위 | 20 | 5 | 4 | 11 | 19 | 34 | 19 | 1회전 탈락 | |
2001-02 | 프리미어리그 | 3위 | 32 | 16 | 3 | 13 | 50 | 44 | 51 | ||
2002-03 | '중단' | ||||||||||
2003-04 | 프리미어리그 | 3위 | 26 | 19 | 3 | 4 | 63 | 17 | 60 | 준결승 탈락 | |
2004-05 | 프리미어리그 | 6위 | 34 | 22 | 5 | 7 | 61 | 31 | 71 | 베스트 16 | |
2005-06 | 프리미어리그 | 5위 | 26 | 12 | 4 | 10 | 32 | 32 | 40 | 우승 | |
2006-07 | 프리미어리그 | 8위 | 24 | 6 | 9 | 9 | 20 | 27 | 27 | 베스트 16 | |
2007-08 | 프리미어리그 | 5위 | 26 | 11 | 8 | 7 | 25 | 16 | 41 | 8강 탈락 | |
2008-09 | 프리미어리그 | 5위 | 26 | 14 | 7 | 5 | 35 | 22 | 49 | 우승 | |
2009-10 | 프리미어리그 | 3위 | 42 | 17 | 18 | 7 | 37 | 30 | 69 | 8강 탈락 | |
2010-11 | 프리미어리그 | 3위 | 32 | 17 | 7 | 8 | 41 | 22 | 58 | 1회전 탈락 | |
2011-12 | 프리미어리그 | 4위 | 32 | 15 | 8 | 9 | 37 | 28 | 53 | 준결승 탈락 | |
2012-13 | 프리미어리그 | 2위 | 32 | 16 | 11 | 5 | 43 | 26 | 59 | 준결승 탈락 | |
2013-14 | 프리미어리그 | 1위 | 36 | 21 | 9 | 6 | 65 | 21 | 72 | 8강 탈락 | |
2014-15 | 프리미어리그 | 1위 | 32 | 20 | 8 | 4 | 51 | 28 | 68 | 우승 | |
2015-16 | 프리미어리그 | 1위 | 36 | 26 | 6 | 4 | 66 | 21 | 84 | 우승 | |
2016-17 | 프리미어리그 | 1위 | 28 | 19 | 5 | 4 | 46 | 14 | 62 | 우승 | |
2017-18 | 프리미어리그 | 1위 | 28 | 20 | 5 | 3 | 37 | 13 | 65 | 8강 탈락 | |
2018-19 | 프리미어리그 | 1위 | 27 | 19 | 6 | 2 | 62 | 19 | 63 | 준결승 탈락 | |
2019-20 | 프리미어리그 | 1위 | 20 | 13 | 6 | 1 | 34 | 7 | 45 | 준결승 탈락 | |
2020-21 | 프리미어리그 | 2위 | 28 | 16 | 9 | 3 | 64 | 18 | 57 | 준결승 탈락 | |
2021-22 | 프리미어리그 | 1위 | 28 | 21 | 6 | 1 | 72 | 13 | 69 | 우승 | |
2022-23 | 프리미어리그 | 위 |
가라바흐는 UEFA가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에 18번 출전했다. 여기에는 챔피언스 리그 7시즌, UEFA컵 및 유로파 리그 13시즌, 컵 위너스 컵 2시즌,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시즌, 인터토토 컵 1시즌이 포함된다.[65] 챔피언스 리그를 통해 진출한 후 유로파 리그에서 6번 출전했으며, 1996–97 시즌 컵 위너스 컵에 처음 출전한 이후 UEFA 대회에서 치른 134경기의 기록은 48승 35무 51패이다.
대회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률 |
---|---|---|---|---|---|---|---|---|
UEFA 챔피언스 리그 | 57 | 24 | 18 | 15 | 82 | 54 | +28 | 42.11 |
UEFA 컵 / UEFA 유로파 리그 | 107 | 37 | 23 | 47 | 122 | 153 | -31 | 34.58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16 | 8 | 4 | 4 | 19 | 17 | +2 | 50.00 |
UEFA 컵 위너스 컵 | 4 | 0 | 1 | 3 | 1 | 12 | -11 | 0.00 |
UEFA 인터토토 컵 | 4 | 1 | 0 | 3 | 2 | 11 | -9 | 25.00 |
총계 | 188 | 70 | 46 | 72 | 226 | 246 | -20 | 37.23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width="90%" style="font-size:90%; text-align:left;"
|-
! style="background:#EFEFEF;" colspan=17 | 카라바흐 FK의 UEFA 대회 경기
|-
! width="80"| 시즌
! scope="col" width=250 align="center" |대회
! width="75"|라운드
! width="200"| 클럽
! width="60"| 홈
! width="60"| 원정
! width="85"| 합계
|-
| style="text-align:center;|1996–97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컵 위너스컵
| style="text-align:center; |예선
| 미파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1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1–1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1–2'''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style="text-align:center;|1997–98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UEFA 컵
| style="text-align:center; |1차 예선
| 야블로네츠 97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3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5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8'''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1998–99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컵 위너스컵
| style="text-align:center; |예선
| 코펜하겐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4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6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10'''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1999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인터토토컵
| style="text-align:center; |1R
| 마카비 하이파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1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2–1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2–2''' (a)
|-
| style="text-align:center; |2R
| 몽펠리에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3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6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9'''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2004–05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UEFA 컵
| style="text-align:center; |1Q
| 두클라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1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3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4'''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2006–07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UEFA 컵
| style="text-align:center; |1Q
| 짐브루 키시너우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1–2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1–1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2–3'''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2009–10
|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유로파 리그
| style="text-align:center; |2Q
| 로젠보르그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0–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 style="text-align:center; |3Q
| 혼카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2–1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3–1'''
|-
| style="text-align:center; |플레이오프
| 트벤테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0–0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1–3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1–3'''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2010–11
|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 유로파 리그
| style="text-align:center; |1Q
| 메탈루르크 스코페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4–1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1–1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5–2'''
|-
| style="text-align:center; |2Q
| 포르타다운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1–1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2–1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3–2'''
|-
| style="text-align:center; |3Q
| 비스와 크라쿠프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3–2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4–2'''
|-
| style="text-align:center; |플레이오프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1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4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5'''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2011–12
|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유로파 리그
| style="text-align:center; |1Q
| 방가 가르그즈다이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3–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4–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7–0'''
|-
| style="text-align:center; |2Q
| EB/스트레위머르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0–0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1–1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1''' (a)
|-
| style="text-align:center; |3Q
| 클럽 브뤼헤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1–4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2–4'''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2013–14
|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 유로파 리그
| style="text-align:center; |1Q
| 메탈루르크 스코페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2–0'''
|-
| style="text-align:center; |2Q
| 피아스트 글리비체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2–1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2–2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4–3'''
|-
| style="text-align:center; |3Q
| 예플레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2–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3–0'''
|-
| style="text-align:center; |플레이오프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2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1–2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1–4'''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rowspan=6 style="text-align:center;| 2014–15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챔피언스 리그
| style="text-align:center; |2Q
| 발레타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4–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5–0'''
|-
| style="text-align:center; |3Q
| 레드 불 잘츠부르크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2–1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2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2–3'''
|-
|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 유로파 리그
| style="text-align:center; |플레이오프
| 트벤테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0–0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1–1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1''' (a)
|-
|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F조
| 생테티엔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0–0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1–1
| bgcolor="#ffdddd" rowspan=3 align="center"| '''3위'''
|-
| 인테르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0–0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2
|-
| 드니프로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1–2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rowspan=6 style="text-align:center;| 2015–16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챔피언스 리그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2Q
| 루다르 플레블라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0–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3Q
| 셀틱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0–0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1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1'''
|-
|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 유로파 리그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 플레이오프
| 영 보이즈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3–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4–0'''
|-
|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J조
| 안데를레흐트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1–0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1–2
| bgcolor="#ffdddd" rowspan=3 align="center"| '''4위'''
|-
| 모나코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1–1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1
|-
| 토트넘 홋스퍼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1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1–3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bgcolor=white|
|-
| rowspan=6 style="text-align:center;| 2016–17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챔피언스 리그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2Q
| 뒤들랑주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2–0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1–1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3–1'''
|-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3Q
| 플젠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1–1
| bgcolor="#ffffdd" style="text-align:center;"| 0–0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1–1''' (a)
|-
|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 유로파 리그
|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플레이오프
| IFK 예테보리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3–0
| bgcolor="#ffdddd" style="text-align:center;"| 0–1
| bgcolor="#ddffdd" style="text-align:center;"| '''3–1'''
|-
|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7. 1. 최다 출장 기록

'''가라바흐 FK 최다 출장 선수''' (2024년 6월 2일 기준)[1]
순위 | 선수 | 활동 연도 | 리그 | 컵 | 대륙 | 총 출장 |
---|---|---|---|---|---|---|
1 | 막심 메드베데프 | 2006–2024 | 376 | 50 | 126 | 552 |
2 | 가라 가라예프 | 2008–2023 | 308 | 41 | 120 | 469 |
3 | 리차드 알메이다 | 2012–2018 2018–2019 2021–현재 | 249 | 30 | 91 | 370 |
4 | 바다비 구세이노프 | 2013–현재 | 231 | 31 | 89 | 351 |
5 | 야샤르 후세이노프 | 1989–2002 | 325 | ? | ? | 325 |
6 | 무쉬피그 후세이노프 | 1989–1999 2003–2004 2005–2007 | 320 | ? | ? | 320 |
7 | 안시 아골리 | 2010–2019 | 224 | 24 | 69 | 317 |
8 | 사타르 알리예프 | 1989 1990–2004 | 306 | ? | ? | 306 |
9 | 아슬란 케리모프 | 1993–1997 2003–2011 | 268 | ? | ? | 268 |
10 | 뷔가르 나디로프 | 2001–2005 2009–2015 2016–2017 | 211 | 19 | 36 | 266 |
7. 2. 최다 득점 기록
2003–2004,2005–2007
2019
2018–2019,
2021–현재
2009–2015,
2016–2017